보길도
완도국제항으로부터 12km 되는 거리에 있는 보길도는 일찌기 고산 윤선도가 배를 타고 제주도로 가던 중 심한 태풍을 피하기 위해 이곳에 들렀다가 수려한 산수에 매료되어, 이곳 동명을 부용동이라고 명명하고 머물 것을 결심했던 곳이다. 10여 년을 머물면서 세연정, 낙서재 등 건물 25동을 짓고 전원 생활을 즐겼으며, 그의 유명한 작품 "어부사시사"도 이곳에서 태어났다. 이 섬에는 은빛모래 혹은 자갈밭이 펼쳐진 해수욕장이 세 곳 있어, 여름피서지로도 인기가 있다. 그 중 섬 남쪽에 위치한 예송리 해수욕장은 모래없이 작은 자갈밭이 1.4km나 펼쳐져 있어 천연기념물 제40호인 예송리 상록수림과 어우러져 더욱 아름답다. 아열대성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 투명한 바다와 신비스런 조화를 이루며, 특히 보길도로 향하는 남해 뱃길에는 푸른 바다 위에 크고 작은 섬들이 펼쳐져 있어, 아름다움을 더한다.
이 곳에는 또한 고산 윤선도 유적 외에도 조선 숙종 때 우암 송시열의 글씨가 새겨진 바위도 있다. 우암은 세자 책봉 문제로 상소를 올렸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83세의 노령으로 제주도로 귀양가게 되었는데 도중에 보길도 백도리 끝 바닷가의 병풍처럼 생긴 바위에 탄식의 글을 새겨 넣었다고 한다. 이 바위를 "글씐바위"라고 한다. 그밖에도 예송리 일출과 보족산, 선창리 일몰, 부용리 동백림 등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이다.
* 고산 윤선도 선생께서 보길도에 18번이나 머무르셨다고 하며, 고려 때 최영장군이 탐라를 토벌하러 가다가 정박했던 곳이 보길도이다.
보길도에 들어가기 위해 땅끝 여객터미널로 향했다.
보길도에 들어가는 배편은 땅끝~산양항 또는 완도 화흥포~동천항을 이용하면 되는데 모두 노화도를 들어간다. 노화도와 보길도에 다리가 놓이기 전까지는 보길도로 가는 배편이 있었으나 지금은 보길대교가 놓이고 나서 이제는 노화도를 통해 보길도로 들어갈 수 있다.
▲ 땅끝마을 여객터미널
▲ 땅끝 매표소
▲ 일출장소에 서보았다. 한 낮이라 이런 느낌이구나~ 하는 정도이고 바위 왼쪽에 있는 '뉴 장보고호'를 타고 노화도로 간다.
▲ 마삭도
▲ 미역인지 다시마인지 모르겠지만 배가 가라앉을 만큼 엄청난 양을 싣고 어디론가 향한다.
▲ 노화도가 가까워지자 직원이 하선준비를 한다.
▲ 노화도에 왔다. 차로 이동하기에 큰 불편없이 보길도로 향한다.
▲ 예송리해변으로 가기전 셋바우제에 도착해서 바라본 예작도
▲ 셋바우제 정자
▲ 예송리 갯돌 해변
▲ 시간을 즐기는 가족
▲ 어선마저 여유롭게 보인다.
▲ 예송리 상록수림
▲ 미역을 팔고 계신 할머니. 이동을 하기에 사고싶어도 살 수 없다.
▲ 예송리 마을에 피어있는 동백
▲ 큰길재로 가는 길목에 미역을 말리고 있다.
▲ 동백나무 원시림. 햇볕이 안들어 올 정도로 빼곡하다.
▲ 큰길재까지 약간의 오름길이며 예송리 마을에서 20분이면 오를 수 있다.
큰길재를 넘어 약 20분 정도 내려가면 곡수당과 낙서재를 만나볼 수 있다.
낙서재는 고산 윤선도가 독서하면서 생활하던 곳이고, 곡수당은 고산의 아들 학관이 생활했던 곳이다.
▲ 곡수당 사당
▲ 곡수당
▲ 낙서재
▲ 낙서재
▲ 귀암
윤선도 선생이 달맞이 하던 장소란다.
▲ 낙서재 앞마당에 핀 봄까치꽃
낙서재에서 내려와 주차장 한편에 동천석실 옛길이라는 이정표가 보여 동천석실로 이동한다.
▲ 운치있는 돌담길이다.
▲ 멀리 동천석실이 보인다. 약 10분이면 오를 수 있고 오가는 시간은 20분이면 족하다.
▲ 석담
암석을 파서 인공으로 만든 자그마한 연못이다. 희황교를 지나 줄을 잡고 동천석실로 올랐다. 희황은 중국의 황제 복희씨를 말하며 동천석실을 천자가 사는 곳으로 비유했다 한다.
▲ 동천석실
▲ 동천석실 앞에 있는 차바위
이곳에서 차를 끓여 드시던 장소라 한다.
▲ 침실
2002년 발굴조사시 서열과 기둥자리와 온돌, 연도가 발굴되었으며 추운날에 잠시 쉬던 곳으로 추정된다.
▲ 동천석실에서 내려와 길을 따라 세연정으로 향하는 길목에 누군가 주목 위에 동백꽃을 올려놨다.
▲ 도로지만 길가에 동백이 피어있어 심심하지 않게 걸어갈 수 있다.
▲ 강렬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염소
▲ 보길도는 곳곳에 황칠나무가 심어져있다.
▲ 윤선도원림 매표소에 도착했다.
세연정이란...
세연이란 '주변경관이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 지는 곳'이란 뜻으로 [고산연보]에서는 1637년 고산이 보길도에 들어와 부용동을 발견했을때 지은 정자라 하고 있다. 정자의 중앙에 세연정, 동쪽에 호광루, 서쪽에 동하각, 남쪽에 낙기란 이란 편액을 걸었으며, 또 서쪽에는 칠암헌이라는 편액을 따로 걸었다.
이곳은 고산이 책 읽고 사색하며 신선처럼 소요하던 은자의 처소였다. 세연정 지역은 3천여 평의 계원으로 부용동 입구에 있다. 세연정을 중심으로 조우에 연못 (205여 평)과 계담(600여 평)과 판석재방과 동대, 서대, 옥소대, 칠암, 비홍교와 동백나무, 대나무, 소나무 숲이 울창하게 우거져서 아름답다. 또 고산의 유적으로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행사인 유상공수를 행하던 낭음계, 용이 승천하는 승용대, 연정이 있었던 조산과 여름에도 한기를 느낀다는 하한대, 고향을 그리워하며 임금이 계신 궁궐을 바라보던 혁희대, 석전, 미산 등 경승의 산봉우리마다 고산은 상징적 이름을 붙였다. 부용동 유적은 고산의 기발한 착상과 절묘한 자연과의 조화성으로 구성된 한국 최고 최대의 별서조경 유적이다.
세연정을 둘러보고 공룡알 해변으로 이동한다.
▲ 공룡알 해변의 상록수림
▲ 여유를 즐길 수 있게 벤치와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 서서히 해가 넘어간다.
▲ 해변의 돌이 공룡알 처럼 크다고 해서 붙여진 공룡알 해변
▲ 낙조가 시작된다.
망끝전망대로 이동해서 일몰을 감상하자!
▲ 조금 아쉽게 해무에 가려 오메가를 볼 수 없었지만 나름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었다.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낙안읍성의 봄 (0) | 2017.03.13 |
---|---|
도솔암의 일출과 남도의 봄 (0) | 2017.03.13 |
다산초당과 백련사 (0) | 2017.03.03 |
설경이 아름다운 내변산과 내소사 (0) | 2017.02.13 |
가을 정취를 맛볼 수 있는 군산 옥산호(구불길) (0) | 2016.11.14 |